의심 없이 첨부파일 클릭했다간 폼북 악성코드 감염!
ASEC 분석팀은 지난해 특정 업체의 이름이 포함된 파일명으로 유포된 폼북(Formbook) 악성코드가 최근에는 VBS 파일을 통해 유포되는 정황을 확인했다. 이번 글에서는 견적서로 위장해 유포되고 있는 폼북 악성코드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이번에 발견된 피싱 메일은 이전과 동일하게 견적서 요청 관련 내용을 담고 있으며, 첨부 파일명에 특정 회사의 이름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첨부 파일을 실행하도록 유도한다.
[그림 1] 이메일 샘플1
[그림 2] 이메일 샘플2
그러나 이전과 다른 점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메일에 첨부된 압축 파일이 실행 파일이 아닌 VBS 파일 형태라는 점이다.
[그림 3] 첨부된 압축파일 내부
해당 악성 파일은 동일한 업체 명에 유포 날짜만 다르게 한 파일명으로 유포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현재까지 확인된 파일명은 아래와 같다.
• 한*산업개발(2022.02.03).pdf.vbs
• 한*산업개발(2022.02.04).pdf.vbs
• 한*산업개발(2022.02.07).pdf.vbs
• 한*산업개발(2022-02-10).pdf.vbs
• 한*산업개발(2022.02.16).pdf.vbs
• 한*산업개발(2022.02.17).vbs
• 한*산업개발(2022.02.21).vbs
한*산업개발(2022.02.21).vbs 에는 특정 값들이 난독화 되어 있다. 난독화 해제 시 런키 등록 및 특정 URL에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VBS 파일 실행 시 hxxp://wisewomanwarrior[.]com/wp-admin/self2.jpg 에 접속해 해당 URL에 존재하는 추가 스크립트가 실행된다. 이후 HKCU\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jtZsps 레지스트리에 C:\Users\[UserName]\Music\한*산업개발(2022.02.21).vbs 을 추가해 악성 스크립트가 지속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명령어를 수행하여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C:\Users\[UserName]\Music\ 폴더에 동일한 파일명으로 자가복제한다.
• cmd /c copy “한*산업개발(2022.02.21).vbs” “C:\Users\[UserName]\Music” /Y
hxxp://wisewomanwarrior[.]com/wp-admin/self2.jpg 에는 스크립트 코드가 존재하여 해당 URL에 접속 시 파워쉘(PowerShell)이 실행된다.
난독화되어 있는 파워쉘 명령어는 최종적으로 아래의 명령어를 수행하게 되어 hxxp://wisewomanwarrior[.]com/wp-admin/self1.jpg 에서 추가 스크립트를 받아온다. hxxp://wisewomanwarrior[.]com/wp-admin/self1.jpg 에는 난독화된 파워쉘 명령어와 압축 파일 데이터가 존재한다. 해당 스크립트는 압축 형태로 존재하는 데이터를 압축 해제해 특정 프로세스에 인젝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크립트를 실행 시 $MNB 변수에 저장되는 .Net 실행 파일의 내부에 존재하는 함수를 활용해 $uiMz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calc.exe에 인젝션(injection)한다.
[그림 4] 자사 RAPIT 시스템에서 확인되는 프로세스 트리
인젝션된 데이터는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인 폼북(Formbook) 악성코드이다. 정상 프로세스인 explorer.exe 및 system32 경로에 있는 또 다른 정상 프로세스에 인젝션해 동작하며, C&C와의 접속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탈취한다.
• C&C : hxxp://www.bumabagi[.]com/p7n9/
견적서로 위장한 악성코드는 과거부터 꾸준히 유포되고 있어 사용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또한, 실제 업체명으로 악성 파일을 유포하기 때문에 발신인을 확인하고, 알 수 없는 발신자로부터 받은 메일에 포함된 첨부 파일이나 링크 실행을 자제해야 한다.
현재 안랩 제품에서는 다음과 같이 해당 악성코드를 진단 및 차단하고 있다.
[그림 5] 행위 진단 및 메모리 진단
출처 : Ahn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