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랩은 최근 Nullsoft Scriptable Install System(NSIS) 설치 파일을 통하여 다수의 악성 파일이 배포되고 있는 정황을 확인했다. 이번 글에서는 NSIS 설치 파일을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 방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
안랩은 파워포인트(.ppt) 문서 내 악성 VBA 매크로를 이용해 유포되는 에이전트테슬라에 대해 소개한 바 있다. 그런데 최근 에이전트테슬라가 윈도우 도움말 파일(.chm)을 통해 유포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이번 글에서는 도움말 파일(.chm)을 이용한 […]
비밀번호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보안 강화를 위해 필수다. 그러나 많은 이들이 비밀번호 바꾸는 걸 귀찮아 하는 탓에 '나중에 하기’를 누르게 된다. 심지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밀번호가 123456, 11111, 00000이라고 […]
2014년부터 활동을 시작한 악명 높은 이모텟(Emotet) 악성코드는 꾸준히 피싱 메일을 통해 국내에 유포되어 왔다. 엑셀 파일, 압축 파일 등을 이용해 유포되던 기존 방식과는 달리 최근에는 링크 파일(.lnk)을 통해 유포되는 것을 […]
악성 워드(Word) 문서를 이용한 공격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발견되고 있다.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파일 형식 중 하나가 워드 문서라는 점을 악용한 것이다. 공격자는 주로 피싱 메일을 통해 악성 워드 […]
안랩은 대북 관련 파일명으로 위장한 악성 워드 문서가 지속적으로 유포되는 정황을 확인했다. 이번에 발견된 워드 문서는 악성 VBA 매크로 코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지난 시큐리티레터 883호 "골드바 매매 계약서? 악성코드 주의하세요"에서 […]
북한의 지형 지속적 위협(APT) 그룹인 라자루스(Lazarus)는 최근 여러 해외 보안 업체들이 주목하고 있는 위협 그룹 중 하나다. 라자루스는 과거 금융 분야를 주요 공격 타깃으로 삼았었으나 최근에는 방위산업체까지 대상을 넓혔다. 안랩은 […]
최근 ASEC은 정상 엑셀 파일을 감염시키는 악성코드들의 유포 사례를 확인했다. 이런 유형의 악성코드는 정상 엑셀 파일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 기능뿐만 아니라, 다운로더, DNS 스푸핑 등의 추가 악성 행위까지 수행하고 있었다. 이번 […]
안랩은 꾸준히 윈도우 도움말 파일(.chm) 형식의 악성코드에 대해 소개해왔다. 이번에 추가로 확인된 악성 .chm 파일은 코로나 확진 안내문을 사칭한 형태로 국내 사용자를 대상으로 유포되고 있다. 코로나 확진자가 다수 발생하는 시기를 […]
최근 온라인으로 상용 소프트웨어나 게임 등 유료 프로그램을 불법으로 다운로드 받으려는 사용자를 노려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사례가 잇달아 발견되고 있다. 사용자가 검색 사이트에 특정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와 관련된 키워드를 입력하면 공격자가 미리 […]
직장에서 행해지는 발표 혹은 보고서 작성은 파워포인트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처럼 남다른 범용성을 가진 파워포인트는 사이버 공격자들에 의해 해킹에 악용되기도 한다. 공격자는 피싱 메일로 타깃을 속이고 첨부한 악성 […]
지난 3월 초 울진, 삼척 일대에 큰 산불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전국 각지에서 피해 복구와 이재민을 돕기 위한 기부 행렬이 이어졌다. 이런 와중에도 공격자들은 쉬지 않고 울진 산불과 관련된 악성 […]
ASEC 분석팀은 지난 3월 21일 김수키(Kimsuky) 그룹이 코인 관련 내용의 워드 문서로 APT 공격을 수행 중인 것을 확인했다. 공격에 사용된 피싱 문서는 총 3건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정보유출형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
최근 ASEC 분석팀은 제품소개서로 위장한 악성 문서를 확인했다. 작년 12월에 ASEC 블로그를 통해 소개한 <디자인 수정 요청 문서로 위장한 정보 탈취 목적의 악성 워드>와 동일한 유형의 워드 문서이다. 이번 글에서는 […]
ASEC 분석팀은 취약한 데이터베이스 서버(MS-SQL, MySQL 서버)를 대상으로 유포되는 악성코드들을 지속적으로 추적 및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Gh0stCringe라고 하는 RAT 악성코드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Gh0stCringe는 CirenegRAT이라고도 불리는 악성코드로서 […]
김수키(Kimsuky) 그룹은 많은 위협 분석가들이 북한을 배후에 두고 있는 위협 그룹으로 추정하고 있다. 정보 탈취를 목적으로 활동하는 지능형지속위협(APT) 그룹으로 알려져 있으며, 2013년 9월 러시아 보안업체 카스퍼스키(Kaspersky)에 의해 처음 알려졌다. 그리고, […]
중요한 데이터가 모여 있는 엔드포인트 영역은 지속적으로 보안 위협에 노출되기 마련이다. 이에, 기업들은 최신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다수의 보안 솔루션을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운영 및 관리의 한계에 부딪히는 경우가 […]
최근 ASEC 분석팀은 Remcos RAT 악성코드가 세금계산서로 위장해 유포되는 정황을 확인했다. 본 게시글을 통해 최신 피싱 메일의 주요 특징을 살펴본다. 이번 피싱 메일의 내용과 유형은 ASEC 블로그를 통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