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이슈

의심 없이 첨부파일 클릭했다간 폼북 악성코드 감염!

2022-02-23

ASEC 분석팀은 지난해 특정 업체의 이름이 포함된 파일명으로 유포된 폼북(Formbook) 악성코드가 최근에는 VBS 파일을 통해 유포되는 정황을 확인했다. 이번 글에서는 견적서로 위장해 유포되고 있는 폼북 악성코드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

마이크로소프트 위장 피싱 공격 주의하세요!

2022-02-16

최근 ASEC 분석팀은 마이크로소프트사 로그인 페이지로 위장한 피싱 메일의 유포 정황을 포착했다. 이번 글을 통해 마이크로소프트 위장​ 피싱 공격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자.     수집된 피싱메일 샘플은 [그림 1]과 같이 […]

메일함 용량 업그레이드 요청 메일 주의하세요!

2022-02-08

최근 ​ ASEC 분석팀은 국내 유명 포털 서비스를 사칭해 이용자의 정보를 수집하는 피싱 메일을 확인했다. 피싱 메일은 메일함의 용량을 업그레이드를 요구하며 링크 클릭을 유도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링크를 클릭할 […]

Log4j 취약점 대응에 AhnLab TIP가 필요한 이유

2022-02-07

최근 공격자들은 한 번의 공격에 수십 가지의 기법을 활용해 공격하기도 하고, 보안 취약점을 파고드는 등 공격 대상을 지능적으로 집요하게 노린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평면적인 위협정보 수집을 통한 대응에 한계를 느낀 […]

매그니베르 랜섬웨어, 변화가 심상치 않다

2022-02-07

여러 종류의 랜섬웨어 중에서도 지속적인 공격을 통해 사용자를 위협하면서, 인지도가 높은 랜섬웨어들이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매그니베르 랜섬웨어’다. 월간안 독자들도 한 번쯤은 들어봤을 매그니베르 랜섬웨어는 변형을 거듭하며 수 많은 […]

코발트 스트라이크와 보안 솔루션의 추격전

2022-02-07

코발트 스트라이크(Cobalt Strike)를 쉽게 표현하면, 상용 침투 테스트 도구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랜섬웨어 등 각종 고도화된 공격 수행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보안 기업들 역시 코발트 스트라이크 활용 공격 […]

Vidar 악성코드, 이번엔 마스토돈 SNS 플랫폼 악용

2022-01-26

최근 ASEC 분석팀은 Vidar 인포스틸러 악성코드가 마스토돈(Mastodon)이라는 SNS 플랫폼을 악용하는 정황을 확인했다.   이번 글에서는 스팸 메일 및 PUP, KMSAuto 인증 툴로 위장해 유포되고 있는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 'Vidar'를 살펴본다. […]

설 명절 노리는 스미싱 공격 주의하세요!

2022-01-26

설날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설 연휴를 앞두고 선물 배송 확인, 모바일 상품권 발급 등 명절을 노린 스미싱과 보이스피싱 공격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안전한 설 연휴를 보내기 위해 꼭 준수해야 할 보안 […]

파일공유 사이트를 통해 유포 중인 디도스 악성코드 주의!

2022-01-19

ASEC이 특정 파일공유 사이트에 성인용 게임으로 위장한 악성 파일을 올려 디도스 공격용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사례를 발견해 사용자의 주의를 당부했다.   이번 글에서는 파일 공유 사이트를 통해 유포되고 있는 DDoS IRC봇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 보안이 중요한 이유

2022-01-12

팬데믹 이후 사회 전반에 걸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이 일어나면서 기업들도 새로운 업무 방식과 디지털 기반 플랫폼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는 기업들은 클라우드 시스템을 도입해 IT 인프라의 […]

국내 유명 포털사이트 사칭한 피싱 메일 주의!

2022-01-12

ASEC 분석팀은 국내 포털 사이트 관련 파일로 위장한 정보유출형 악성코드가 유포되는 정황을 확인했다. 피싱 메일에 포함된 악성 URL에서 'NAVER.zip' 파일을 다운로드하며, 압축 파일 내부에는 ‘네이버지키미.exe’ 파일명의 실행 파일이 포함된 것을 […]

엑셀 4.0 매크로 악성코드 실행 예방 가이드!

2022-01-05

엑셀 4.0 매크로(XLM) 악성코드는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엑셀 프로그램의 ‘매크로 시트(Macro Sheet)’ 기능을 이용​해 공격을 펼치는 악성코드이다. 매크로 시트(Macro Sheet)를 구성하는 각 셀이 실행 가능한 함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

공포의 Log4j 취약점, 효과적인 대응 방안은?

2022-01-03

2021년 12월 초, 보안 업계를 넘어 전 세계를 떠들썩하게 한 취약점이 발견되었다. 월간안 독자들도 익히 들어봤을 Log4j 취약점이다. 간단한 문자열을 활용해 원격 코드 실행을 통한 서버 장악이 가능하고, 취약점을 가진 […]

웹 브라우저 자동 로그인 계정 정보 노리는 레드라인 주의!

2021-12-15

최근​ ASEC 분석팀은 한 기업의 내부망 침해 사고 조사를 진행하던 중 기업망 접근에 사용된 VPN 계정이 재택 근무 중인 한 직원의 개인 PC에서 유출된 것임을 확인했다. 이게 도대체 어떻게 된 […]

로그4j 2 취약점, 이렇게 대응하세요!

2021-12-15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12일 '아파치 로그4j 2(Apache Log4j 2)' 서비스에 대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됨에 따라 긴급 보안 업데이트를 권고했다. 해당 취약점은 로그4j(Log4j) 소프트웨어의 원격 코드 실행(RCE) 취약점으로 로그 메시지에 원격의 자바 […]

랜섬웨어, 대응책과 예방법은?

2021-12-08

랜섬웨어 소식이 끝없이 나오고 있는 요즘이다. 랜섬웨어는 회사는 물론 개인 PC까지 노리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상당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KISA(한국인터넷진흥원)의 '2021 랜섬웨어 스페셜리포트'에 따르면 글로벌 피해 금액은 2031년 300조 원을 […]

디자인수정 요청.doc 제목의 첨부파일 주의하세요!

2021-12-08

최근 국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악성 워드 문서가 유포되고 있다. '콘텐츠 사용' 기능을 활용한 악성 매크로를 포함하고 있으며 악성 파일을 다운로드해 정보 탈취를 시도하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번 […]

내년부터 선보일 모바일 신분증, 보안 문제는 없나?

2021-12-01

내년 1월부터 모바일 운전면허증 제도 시범운영을 시작으로 이른바 ‘모바일 신분증’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린다. 이동통신사는 최근 모바일 운전면허증 확인 서비스를 먼저 출시한 데 이어 삼성전자는 자사 제품인 갤럭시 S20 시리즈에 모바일 […]

02-553-2331
견적 요청
카카오톡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