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이슈

블랙 프라이데이 노리는 피싱 공격 주의!

2021-11-24

미국 대형 할인 행사인 블랙 프라이데이(11월 26일)를 앞두고 해외 직접구매(일명 '직구') 상품 등을 중심으로 할인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해외 직구족을 노린 피싱 공격이 기승을 부리고 있어 이용자들의 각별한 […]

대북 관련 문서 이용한 IE 제로데이 공격 주의!

2021-11-17

ASEC은 그 동안 지속적으로​ 대북 관련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악성 문서에 대해 소개해왔다. 최근에도 비슷한 형태의 파일을 이용한 공격들을 포착해 분석을 진행했다. 그런데 이번에 발견한 파일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지난 9월에 발표한 […]

매크로 시트를 이용한 악성 엑셀 파일 주의하세요!

2021-11-10

ASEC은 매크로 시트(Excel 4.0 Macro)를 이용한 악성 엑셀 문서가 피싱 메일을 통해 국내에 다수 유포 중인 정황을 확인했다. 매크로 시트를 이용한 방식은 악성코드 유포자가 자주 사용하는 방식으로, SquirrelWaffle과 Qakbot을 비롯한 […]

악성 외부 링크를 이용한 워드 파일 주의!

2021-11-03

최근 ASEC은 악성 워드 내 매크로를 실행시키기 위한 상위 공격 과정에서 C2가 살아있는 외부(External) 링크를 이용한 워드 샘플을 확인했다. 이러한 방식은 주로 대북 관련 본문 내용의 악성 워드​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

블랙매터 랜섬웨어, 다크사이드의 후예인가?

2021-11-01

2021년 7월 21일, 러시아에서 운영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다크웹 익스플로잇(DarkWeb Exploit) 포럼에 블랙매터(Black Matter)라는 새로운 랜섬웨어 조직이 등장했다. 제작자에 따르면, 블랙매터 랜섬웨어는 기존 잘 알려진 다크사이드(DarkSide), 블루크랩(BlueCrab), 록빗(LockBit) 랜섬웨어의 기능을 통합해 […]

업무, 학술 관련 악성 파일 유포 사례 3가지 비교분석!

2021-10-27

ASEC은 최근 9~10월간 논문, 자기소개서, 이력서 등 업무나 학술 관련 내용으로 위장한 악성 파일을 이용해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사례를 잇따라 발견했다.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악성코드의 특징을 살펴본다.     [논문 위장 […]

재난지원금 신청 개인정보 동의서인 줄 알았는데...

2021-10-20

안랩은 최근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 신청 관련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이하 재난지원금 신청 개인정보 동의서)’로 위장한 악성 문서 파일을 발견해 사용자의 주의를 당부했다.​   안랩이 이번에 발견한 ‘재난지원금 신청 개인정보 동의서’ 위장 […]

게임인 줄 알았는데… 웹하드에서 유포되는 악성코드 주의

2021-10-13

ASEC은 국내에 유포되는 악성코드들의 유포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오던 중, 웹하드 게시글을 통해 배포되는 UDP Rat 악성코드를 발견했다. 지난 10월 1일 ASEC 블로그를 통해 공격에 활용된 웹하드 게시글을 공개한 뒤에도 또 […]

포털 사이트 계정 정보 노리는 피싱 메일 주의

2021-10-06

피싱 메일은 악성코드 유포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 중 하나로, 그간 시큐리티레터를 통해서도 다양한 종류의 공격을 다룬 바 있다. ASEC은 최근, 포털 사이트 ‘다음(Daum)’ 사용자 계정 정보 유출을 목적으로 하는 […]

록빗 랜섬웨어, 기업을 노리는 또 다른 위협

2021-10-01

전 세계 기업들을 괴롭히고 있는 랜섬웨어는 공격 빈도 수 뿐만 아니라 그 종류도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이 중, 비교적 최신으로 분류되는 록빗 랜섬웨어는 등장한지 2년여만에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주요 […]

기지개 켜는 블루크랩 랜섬웨어, 다시 돌아오나?

2021-10-01

지난 2019년 4월 갠드크랩(GandCrab) 랜섬웨어 제작 중단 발표 후 최초 발견된 블루크랩(BlueCrab) 랜섬웨어는 최근까지 국내에서 활발하게 유포되었던 악성코드다. 감염 시 바탕 화면을 파란색 이미지로 변경하여 피해자에게 감염 사실을 인지하게 한 […]

나도 모르게 시스템을 조종하는 VNC 악성코드

2021-09-29

가상 네트워크 컴퓨팅(Virtual Network Computing: VNC)은 원격으로 다른 컴퓨터를 제어하는 화면 제어 시스템을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격 데스크탑 프로토콜(Remote Desktop Protocol: RDP)과 같이 원격으로 다른 시스템에 접속해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

갈수록 교묘해지는 피싱 메일의 트릭

2021-09-15

지난 수 년간 사용자들을 괴롭혀온 피싱 유형의 스팸 메일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개인 정보 회신을 요구하는 등 본문 내용 자체가 거짓인 유형이다. 두 번째는 메일 본문에 피싱 […]

비트코인 사기 주의보! 입금 관련 피싱메일 유포 중

2021-09-08

ASEC 분석팀은 비트코인 탈취를 목적으로 악성 메일이 국내에 유포 중임을 확인했다. 해당 메일 본문에는 비트코인 입금과 관련된 내용이 존재하고, 내부에 포함된 악성 URL 클릭 시 악성 웹사이트로 연결되는 것이 특징이다. […]

클라우드를 노리는 해커들의 최신 공격법

2021-09-06

그간 월간’안’을 통해 지속적으로 소개한 바와 같이, 클라우드 도입이 늘어남에 따라 클라우드 환경을 노리는 공격도 계속해서 고도화 및 조직화되고 있다. 지난해 4월부터 지속적으로 클라우드 대상 공격을 감행해온 공격 그룹 ‘TeamTNT’는 […]

웹캠 해킹 예방법 6가지 알아보기

2021-09-01

코로나 19로 인해 재택근무가 많아지면서 줌(Zoom)이나 구글 미트(Google Meet) 등을 이용한 화상회의의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거의 모든 노트북에 웹캠이 장착되어 있기에 가능해진 일이다. 웹캠은 과연 보안에 안전할까? 웹캠에 대한 해킹 […]

골드바 매매 계약서? 악성코드 주의하세요

2021-08-25

ASEC 분석팀은 최근 ‘수출용 골드바 매매 계약서’로 위장한 악성 워드 문서가 유포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글에서는 해당 워드 문서를 통해 어떤식으로 공격이 전개되는지 살펴본다.     유포된 문서의 원본은 문서 […]

계속되는 변종 악성코드, ‘지난번 그 녀석이 아니다’

2021-08-18

크립봇(CryptBot) 악성코드 등 상용 소프트웨어로 위장해 다운로드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유포되는 악성코드가 크고 작은 변형을 만들어가며 활발히 유포 중이다. 크립봇 악성코드는 기존 7z SFX에서 MS IExpress 외형으로 변경되었으며 일반적인 방법으로 압축 […]

02-553-2331
견적 요청
카카오톡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