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랩이 악성 OLE 개체가 삽입된 한글 문서(.hwp)가 유포 중인 정황을 확인했다. 파일명에 국방, 통일, 교육 및 방송과 관련된 키워드가 포함돼 있는 것으로 보아, 공격자는 해당 분야 관계자를 주요 표적으로 삼은 […]
올 10월 초, 안랩은 지난 2분기에 이어 3분기 동안 탐지된 피싱 문자를 분석하고, 스미싱 공격 통계를 정리했다. 이번에 발견된 특이사항으로는 2분기에 비해 기관 사칭 및 허위 결제 위장 피싱 문자는 […]
김수키(Kimsuky) 위협 그룹은 xRAT(Quasar RAT)과 같은 오픈 소스 기반 및 자체 제작한 악성코드 외에도 다양한 툴을 사용해 공격을 수행한다. 특히 시스템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데 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Remote Desktop Protocol, RDP)를 […]
안랩은 취약한 리눅스 SSH 서버에 설치되고 있는 셸봇(ShellBot) 악성코드의 유포 방식이 변경된 것을 확인했다. 전체적인 흐름은 기존과 동일하지만, 공격자가 셸봇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다운로드 주소가 16진수 값으로 변경됐다. 해당 악성코드의 […]
CHM(Microsoft Compiled HTML Help) 파일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도움말 파일로, 컴파일링 및 압축된 HTML 형식이다. 이는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 방법, 교육 가이드 등 사용자에게 도움말을 제공하는 데 주로 사용되지만, 내부의 […]
안랩이 국세청을 사칭한 악성 LNK 파일이 국내에 유포되고 있는 정황을 확인했다. LNK 파일을 악용하는 방식은 과거부터 꾸준히 사용돼 왔으며, 최근에는 국내 사용자를 노린 사례가 다수 확인되고 있다. 이번에 확인된 악성 […]
올해 8월 28일, 안랩은 국내와 대만에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저작권 침해를 사칭한 닷넷(.Net) 다운로더 악성코드가 유포된 정황을 확인했다. 이 악성코드는 샌드박스 기반 보안 솔루션 탐지를 우회하기 위해 가상 환경을 탐지하는 […]
안랩 분석팀은 최근 PDF 문서 뷰어로 위장한 피싱 스크립트 파일이 이메일 첨부 파일을 통해 유포 중인 정황을 확인했다. 해당 파일은 실제 PDF 문서와 유사하게, 실행 시 이메일 비밀번호 입력을 유도하는 […]
안랩이 ‘넷플릭스 구독 갱신 및 계정 확인’ 내용으로 위장한 피싱 공격 사례를 발견했다. 공격자는 ‘Your Subscription is about to expire(구독이 곧 만료됩니다)’라는 제목의 피싱 메일을 통해 악성 URL을 유포했다. 넷플릭스는 전 세계 사용자가 이용 중인 유명 OTT 서비스라는 […]
안다리엘(Andariel) 그룹은 라자루스(Lazarus)의 협력 또는 하위 조직으로 알려져 있다. 안다리엘은 2008년부터 국방, 정치기구, 조선, 에너지, 통신 등 안보와 관련된 국내의 기업 및 기관을 대상으로 공격을 수행해왔다. 이 외에도 대학교, 운송업체, […]
웹 서버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외부에 공개돼 있어 공격자의 표적이 되기 쉽다. 안랩 분석팀은 취약한 웹 서버를 노린 취약점이 패치되지 않았거나 부적절하게 관리되고 있는 웹 […]
안랩은 최근 하쿠나 마타타(Hakuna Matata) 랜섬웨어가 국내 기업을 노린 공격에 사용되고 있는 정황을 확인했다. 하쿠나 마타타는 최근에 제작된 랜섬웨어로, 관련 정보는 올해 7월 6일 처음 트위터를 통해 공개됐다. 그 이후인 […]
안랩 분석팀이 최근 코인 거래소 및 투자 관련 내용으로 위장한 악성코드를 발견했다. 이 악성코드는 실행 파일 및 워드 문서 형태로 유포 중인 것으로 확인되며, 사용 중인 사용자 에이전트(User-Agent)로 미루어 보아, […]
안랩 분석팀은 이전에 국내 VPN 업체의 설치 파일을 통해 유포됐던 스파크랫(SparkRAT) 악성코드 사례를 소개한 바 있다. 최근에도 이와 유사한 악성코드가 국내 VPN 업체와 마케팅 프로그램 판매 업체의 설치 파일로 위장해 […]
안랩은 머신러닝(ML) 기반으로 탐지한 피싱 문자에 대해 분석 및 대응을 수행한다. 올해 2분기 특이사항으로는 가족 또는 기관 사칭 피싱 문자를 악용한 공격이 급증한 반면, 허위 결제 사기 문자 건수는 큰 […]
대퇴직 시대를 맞아 내부자 위협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내부자 위협은 기업 내부의 시스템 정보와 액세스 권한을 가진 부주의하거나 악의적 목적을 가진 직원이 초래하는 보안 위협이다. 최근에는 기업에 RPA(Robotic Process […]
리쿠베(Rekoobe)는 중국의 APT31 공격 그룹이 사용 중인 것으로 알려진 백도어 악성코드로, 2015년 최초로 발견됐다. 2018년에는 리쿠베의 업데이트된 버전이 공격에 사용되기도 했었다. 안랩 ASEC 분석팀에 따르면, 리쿠베 악성코드는 수년 전부터 국내 […]
안랩 분석팀이 최근 크라이시스(Crysis) 랜섬웨어 공격자가 비너스(Venus) 랜섬웨어를 공격에 함께 사용하고 있는 정황을 확인했다. 크라이시스, 비너스 랜섬웨어는 외부에 노출된 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Remote Desktop Protocol, RDP)을 주요 표적으로 삼는다는 공통적인 특징이 […]